[0628] X-Ray 주식 실시간미체결
화면개요
본 화면은 실시간 미체결 현황을 조회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주문 위치를 참고하여 체결시점을 파악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또한 미체결 주문내역에 대해서 취소주문을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단, 이용 시 주의하실 점은 본 화면에서 제공되는 분석데이터는 증권거래소에서 제공하는 공식 데이터가 아닌 당사의 분석엔진에 의한 추정치입니다.
◆ X-Ray란?
기존 호가정보에서는 단순히 각 호가별 잔량 총합만을 보여줬습니다.
그러나 X-Ray는 마치 뭉쳐진 호가잔량 덩어리를 X-Ray 광선으로 투시한 것처럼 볼 수 있습니다.
주문 1건당 수량의 크기, 큰 주문의 유무와 그 위치, 내 주문의 위치는 물론 세력으로 보여지는 거대한 주문수량의 진입/이탈 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X-Ray를 통해 기존 호가정보가 가진 한계를 뛰어 넘는 입체적인 호가분석을 경험해보세요.
※ 본 화면에서 제공되는 분석데이터는 분석에 의한 추정치입니다.
사용방법
체결전
”체결전” 이란 해당 호가에 고객님의 주문보다 먼저 입력된 주문의 수량을 의미합니다.
고객님의 주문이 실행된 순간 이미 그전에 해당 호가에 미리 유입되어 있는 주문수량들이 존재하며 이 수량들이 모두 체결되거나 정정/취소 되어 이탈해야만 비로소 고객님의 주문이 체결될 것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면 자신의 주문인 10주를 기준으로 우측으로는 먼저 입력된 타인의 주문 2건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타인의 주문을 “체결전” 이라고 표기하는 것입니다. 이 “체결전” 의 수량이 0이 되어야 비로소 내 주문이 체결되기 때문입니다.
주문을 실행하면 주문수량 바로 옆에 체결전 수량이 실시간으로 변동되어 표시됩니다.
체결전에 6,480 (251) 이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내 주문보다 먼저 체결되어 사라져야 할 주문수량이 6,480주, 251건 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체결전 수량을 참조하여 보다 편리하게 주문체결 시점을 예측하시기 바랍니다.
※ 주의: 체결예측 기능은 지정가 주문에 대해서만 동작합니다. 시장가 주문은 주문가격 정보가 없어 체결예측을 작동시킬 수 없습니다. 체결예측 기능은 당사 추정치이므로 정확한 체결시점은 별도의 계좌정보 화면을 통해 확인해주십시오.
선택주문 상세보기
리스트에서 특정 미체결주문을 선택하면 하단부에서 해당 주문의 진행상황을 상세히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 영역에서는 고객님의 주문에 대해 주문추적 기능이 가동됩니다.
주문추적 기능은 고객님께서 주문을 실행한 순간부터 체결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기능입니다.
주문을 실행하시면 아래 그림처럼 세력분포 영역에 고객님의 주문이 별도로 반전되어 표시되며 이후 신규주문의 유입과 앞선 주문들의 체결 및 정정/취소 발생 시 실시간으로 고객님 주문의 위치가 변경됩니다.

고객님의 주문보다 앞선 주문들이 몇 건이며 수량은 어떻게 되는지를 상세히 파악해볼 수 있기 때문에 주문 후 체결까지의 과정을 보다 명료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주문추적 기능은 2가지로 분류됩니다.
주문포착
위 그림에서와 같이 고객님의 주문수량과 타이밍 둘 다 정확하게 포착했을 때를 “주문포착” 이라고 하며 밝은 색상으로 반전시켜 표시합니다. (매수주문은 붉은색, 매도주문은 파란색으로 표시)
주문추정
고객님의 주문이 실행된 순간 시세지연이 발생하거나 시세뭉침 현상, 네트워크 상태의 불안정 등 여러가지 이유로 정확한 수량을 포착할 수 없을 때는 아래 그림과 같이 회색으로 반전시켜 표시하며 “주문추정” 이라고 합니다. 즉, 시점 상으로는 이 지점에 고객님의 주문이 위치하지만 수량이 다를 때를 나타냅니다.
※ 주의: 주문추적 기능은 당사 추정치이므로 정확한 체결시점은 별도의 계좌정보 화면을 통해 확인해주십시오.
참고사항
X-Ray 정보는 당사의 분석엔진에 의해 분석된 추정치이므로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시세 및 체결지연, 네트워크 끊김 등으로 인해 분석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매도/매수 10호가 정보를 분석하기 때문에 10호가 밖의 호가변동 내역은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없기에 미분석으로 분류하여 별도로 회색으로 표기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동일한 호가 내에 같은 크기의 주문건이 여러건 존재하는 경우 선입선출(先入先出) 원칙에 의해 처리합니다. 즉 매수 2호가에 100주 짜리 주문건이 5건 있는 상황에서 해당 호가에서 취소주문 100주가 발생하면 가장 최초주문(先入)을 취소처리합니다.